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대상과 교육시간으 로 옳은 것은?
❶ 정기교육인 경우 : 사무직 종사근로자 – 매분기 3시간 이 상
② 정기교육인 경우 : 관리감독자 지위에 있는 사람 – 연간 10시간 이상
③ 채용 시 교육인 경우 : 일용근로자 – 4시간 이상
④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인 경우 :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 로자 – 1시간 이상
11.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이 아닌 것은?
① 주물 및 단조작업
❷ 전압기 50볼트의 정전 및 활선작업
③ 화학설비 중 반응기, 교반기, 추출기의 사용 및 세척작업
④ 액화석유가스, 수소가스 등 가연성, 폭발성 가스의 발생 장치 취급작업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별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 작업 기준 으로 틀린 것은?
① 전압기 75V 이상인 정전 및 활선작업
② 굴착면의 높이가 2m 이상의 되는 암석의 굴착작업
❸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프레스기계를 3대 이상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④ 1톤 미만의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5대 이상 보유한 사 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2.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 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이 아닌 것 은?
① 건설용 리프트·곤돌라를 이용한 작업
❷ 전압이 50볼트(V)인 정전 및 활선작업
③ 화학설비 중 반응기, 교반기·추출기의 사용 및 세척작업 ④ 액화석유가스·수소가스 등 인화성 가스 또는 폭발성 물질
중 가스의 발생장치 취급 작업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내 용 중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시 교육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 다.)
①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❷ 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③ 보호구 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
④ 사고 시의 응급 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관한 사항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내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교육대상과 교육시간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사무직 종사 근로자의 정기교육 : 매분기 3시간 이상
② 일용근로자의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 1시간 이상
❸ 건설 일용근로자의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 2시간 이상 ==> 4시간 이상
④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의 정기교육 : 연간 16시간 이상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산업기사-기출문제(O.J.T/OFF JT) (0) | 2025.02.10 |
---|---|
산업안전산업기사-기출문제(안전모) (0) | 2025.02.04 |
산업안전산업기사-기출문제(위험예지훈련-현본대목) (0) | 2025.02.04 |
산업안전산업기사-기출문제(동일화/암시/합리화) (0) | 2025.02.04 |
산업안전산업기사 기출문제 - 1(무재해)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