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과목:건설안전기술

산업안전산업기사-기출문제(비계기둥)

슈가맨_2025 2025. 2. 11. 01:49
반응형

83. 신축공사 현장에서 강관으로 외부비계를 설치할 때 비계기 둥의 최고 높이가 45m 라면 관련 법령에 따라 비계기둥을 2개의 강관으로 보강하여야 하는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얼마 까지인가?  => 45-31(중요)
    ❶ 14m     ③ 25m    ② 20m    ④ 31m 

 

100.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 지 않은 것은? => 1.5 m 이하
    ①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m 이하로 할 것
    ❷ 비계기둥의 간격은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0m 이하로 할 것
    ③ 띠장 간격은 2.0m 이하로 할 것
    ④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87.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해야 할 기준으 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m 이상 1.8m 이 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❷ 띠장 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 상으로부터 2.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③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 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④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문제 해설>
띠장 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되(ㅇ),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0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현재 법 개정으로인하여(2020년 4월 기준)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방향에서 1.85m이하 장선방향에서는 1.5m이하
띠장간격은 2m이하로 설치하되 지상으로부터 2m이하에 설치할 것이 맞습니다.
강관의 띠장 간격은 무조건 그냥 2m이하 입니다

 

94. 강관비계의 구조에서 비계기둥 간의 최대 허용 적재 하중으 로 옳은 것은?
    ① 500 kg                   ❷ 400 kg     ③ 300 kg                   ④ 200 kg

 

95. 강관비계의 구조에서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몇 kg을 초 과할 수 없는가?
    ① 500 kg ② 450 kg     ❸ 400 kg ④ 350 kg

 

90. 강관비계의 최고부 높이가 50m인 경우 기둥하부로부터 몇 m 높이까지 비계기둥 좌굴 등의 방지를 위하여 강관을 2본 으로 묶어 세워야 하는가? =>  50-31

① 8m     ❸ 19m  ② 15m ④ 31m

 

94. 다음은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할 때 준수사항이다. 틀린 것은?  =>400kg
    ①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5m 내지 1.8m, 장 선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❷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100kg을 초과하지 아니하도 록 할 것

    ③ 띠장의 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할 것
    ④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96. 강관비계 및 강관틀비계의 구조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❶ 강관비계에서 비계기둥의 장선방향 간격은 1.8m 이하로  할 것  => 1.5
    ② 비계기둥의 최고부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 기둥은 2본이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③ 강관비계에서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 하지 아니할 것
    ④ 강관틀비계에서 주틀간에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100. 다음 나열된 내용은 강관비계의 조립시 안전지침이다. 이 중 잘못된 것은?
    ❶ 비계기둥의 간격은 보 방향에서 2m, 장선 방향에서 2m 이상이어야 한다.
    ② 지상에서 첫 번째 띠장의 높이는 2m 이하의 위치에 설 치해야 한다.
    ③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 야 한다.
    ④ 벽면과의 연결은 수직 5m, 수평 5m 이내마다 견고하게 설치해야 한다

 

 

 

 

 

 

반응형